본문 바로가기

개발/HCI(Human Computing Interaction)

카카오톡의 적절한 효율성 제공에관한 휴리스틱 검사

적절한 효율성 제공에 관한 다섯 가지 휴리스틱 평가 항목을 적용해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휴리스틱 검사를 수행해 보자.
어떠한 것이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장 큰 문제점이고, 어떻게 개선 하고 보완 할 수 있을까?

카카오톡

1. 시스템의 반응이 적절한 시간 내에 제공 되는가.
-해당 시스템은 멀리 있는 사용자와도 언제든지 대화 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즉시 제공
-용량이 큰 파일을 전송할 때는 막대형 그래프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전송이 얼마나 남았는지 명확하게 알려준다.

2. 신속한 수행 방법이 제공되는가.
- 하위메뉴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는다. 
- 원하는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자주 사용 하는 기능들은 손쉽게 닿을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3.반복적인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 하는가.
-자동완성기능으로 편리함 제공 
-자주 사용한 이모티콘은 따로 보관해줌

4. 필요한 최소한의 표현만을 사용하는가.
-전송이 안되었을때에는 간단히 다시 보내기 버튼이 활성화 됨
-새로생긴 검색 기능도 #버튼을 눌러 활성하 시키기만 하면됨

5.최소한의 필요한 정보만을 요구 하는가.
-이름, 닉네임, 휴대폰 번호 인증 등 기본적 정보만 요구함

문제점 : 상대 에게 발송이 되버린 메시지는 번복 이 불가함. 
수신자가 확인 전이라면 발신자가 삭제, 수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기도록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