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시된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일관성이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사례와 가장 나쁘다고 생각되는 사례를 한 가지씩 생각해 보자.
이 두사례를 비교해 일관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이고, 왜 그렇다고 생각하는지 이유를 제시해 보자.
이때 두가지 사례는 비슷한 것이 좋다.
마우스

우리가 대게 사용하는 마우스들은 매우 일관성이 있습니다.
모든 마우스는 비슷한 모양에 스크롤휠이 가운데 있어
위로 위의 방향으로 휠을 움직이면 화면이 위로
아래방향으로 움직이면 화면이 아래로
휠의 방향과 화면의 이동방향이 같은 원리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마우스가 망가져서 새로운것을 구입해도
마우스 사용 법을 따로 습득 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apple사 마우스>
하지만 apple사의 마우스는 다른 마우스들 과는 다릅니다.
일관성에서 벗어나는 케이스 입니다.
모든 마우스가 스크롤의 방향과 화면의 이동방향이 같도록 일관성을 유지 할 때
애플은 반대로 했습니다.
애플은 스크롤의 반대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 합니다.
기본적 원리를 생각 해보면
길다란 화면을 위로 밀어 내면 아래의 내용이 보인다는 생각을 가지면 좀더 수월 합니다.
이것을 이해 한다면 이렇게 작동 해야 하는 것이 당연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보통 마우스를 사용하던 사용자들은 이런 마우스를 처음 사용할 경우 불편함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지금까지 하던것들을 모두 반대로 해야하기 때문에
편리 하라고 만든 제품이 더 불편 하게 느껴집니다.
이런것을 보면
일관성에 가장 큰 요인을 끼치는 것은
좀더 효율 적이고 과학적인 방법 보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것, 사람들에 몸에 배여 있는 문화 들이 훨신 중요 하다고 보입니다.
'개발 > HCI(Human Computing Interac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의 개인.결합 시퀀스 모형 그리고 "LINE" (0) | 2015.12.13 |
---|---|
사용자 분석 이 잘 이루어진 카카오톡 ' # ' 기능 (0) | 2015.12.13 |
네 가지 기본적 가치모형에 가장 잘 부합하는 "EBSi" (0) | 2015.12.13 |
촉지적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제공된 "GTA" (0) | 2015.10.13 |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 PayNow " (0) | 2015.10.13 |